□ 정규화
- 제 1정규형 : 모든 속성은 반드시 하나의 값을 가져야 한다(원자성)
- 제 2정규형 : 엔터티의 일반 속성은 주식별자 전체에 종속이어야 한다(부분함수종속성)
- 제 3정규형 : 엔터티의 일반속성 간에는 서로 종속적이지 안하야 한다(이행함수종속성)
- 보이스코드 정규형 : 후보키가 기본키 속성 중 일부에 함수적 종속일 때 다수의 주식별자를 분리함
□ 관계와 조인
- 조인 정의 : 조인이란 식별자를 상속하고, 상속된 속성을 매핑키로 활용하여 데이터를 결합하는 것
- 관계
- 정의 : 식별자를 상속시키고 해당 식별자를 매핑하여 데이터를 결합하는 것
- 식별관계 : 부모의 식별자를 자식의 식별자에 포함
- 비식별관계 : 부모의 식별자를 자식의 일반속성으로 상속
□ 모델이 표현하는 트랜잭션의 이해
- IE : 필수적인 관계(실선), 선택적인 관계(원)
- 바커 : 필수적인 관계(실선), 선택적인 관계(점선)
□ NULL 속성의 이해
- 특성
- 아직 정의되지 않은 값으로 0이나' '(공백)이 아님
- NOT NULL 또는 PRIMARY KEY외 모든 데이터 유형에 포함 가능
- NVL, ISNULL 로 다른 결과값을 얻은
- 집계 함수에서는 제외됨
- 연산
- NULL값과의 연산은 NULL을 리턴
- 모든 비교는 알 수 없음(Unknow) 리턴
- 집계함수는 NULL을 제외하고 계산
□ 본질식별자 / 인조식별자
- 본질식별자(현실) : 현실 세계의 업무상 의미가 있는 속성(컬럼)을 그대로 식별자로 사용하는 것(주민등록번호, 차량번호 등)
- 인조식별자(DB) : 현실 세계의 의미와 무관하게, DB에서 인위적으로 만든 유일값을 식별자로 사용하는 것(자동생성PK값, 시스템에서 발급되는 고유번호 등)
- 인조식별자는 대체로 본질식별자가 복잡한 구성을 가질 때 만들어진다.
- 인조식별자를 사용하면 중복 데이터를 막기 어려워진다.
- 인조식별자를 사용하면 본질식별자를 사용할 때와 비교하여 추가적인 인덱스가 필요해진다.
- 인조식별자는 단점도 존재하므로 꼭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론공부 >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D(SQL 활용) (1) | 2025.08.18 |
---|---|
SQLD(SQL 기본) (2) | 2025.08.18 |
SQLD(데이터 모델링) (3) | 2025.08.15 |
네트워크관리사 2급 (3) | 2025.08.06 |
정보처리기사(개념정리) - 5과목 정보시스템 구축관리 (3) | 2025.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