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코딩 - Java(연산자)
·
Java & Spring/Java
1. 산술연산자 + 더하기 - 빼기 * 곱하기 / 나누기 % 나머지 3번의 경우 a형태가 int이므로 float 형식으로 자동 형변환 실시 후 연산 2. 단항연산자 1+2에서 사용한 연산자 +는 이항(二두이 項항목항, infix operator) 연산자이고, 좌항인 1과 우항인 2를 더해주는 작업을 하고 있다. 단항(單홑단 項항목항, unary) 연산자는 하나의 항을 대상으로 연산이 이루어지는 연산자이다. 다음은 자바에서 제공하는 단항 연산자들이다. 3. 연산의 우선순의(참고만) 우선순위 연산자 결합방향 1 [ ] → () . 2 ++ ← -- +(양수) -(음수) ~ ! (type) new 3 * / % → 4 +(더하기) -(빼기) → +(문자 결합 연산자) 5 >>> 6 = instanceof..
생활코딩 - Java(데이터타입, 형변환)
·
Java & Spring/Java
1. 정수형 데이터 타입 메모리의 크기 표현 가능 범위 byte 1 byte -128 ~ 127 short 2 byte -32,768 ~ 32,767 int 4 byte -2,147,483,648~2,147,483,647 long 8 byte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2. 실수형 float 4byte ±(1.40129846432481707e-45 ~ 3.40282346638528860e+38) double 8byte ±(4.94065645841246544e-324d ~ 1.79769313486231570e+308d) 3. 문자 char 2byte 모든 유니코드 문자 4. 상수의 데이터 타입 int(정수) != 2.2(실수) 이므로 ..
생활코딩 - Java(주석과 세미콜론, 데이터 타입)
·
Java & Spring/Java
1. 주석 주석(comment)은 로직에 대한 설명이나 코드를 비활성화 할 때 사용한다. 주석은 프로그래밍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줄 주석 : // 역슬래쉬 두개 사용 여러줄 주석 : /* 와 */ 사이에 주석처리할 내용 기입 JavaDoc 주석 : /**로 시작하는 주석은 JavaDoc 주석이라고 해서 자바의 문서를 만들 때 사용한다. 2. 세미콜론 세미콜론은 문장(statement)의 끝을 의미한다. 자바에서는 문장의 끝에 세미콜론을 사용하지 않으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 1. 정수형 데이터 타입 메모리의 크기 표현 가능 범위 byte 1 byte -128 ~ 127 short 2 byte -32,768 ~ 32,767 int 4 byte -2,147,483,648~2,147,483,647 lon..
생활코딩 - Java(숫자와 문자)
·
Java & Spring/Java
1. 숫자 자바에서는 따옴표가 없는 숫자는 숫자로 인식한다. System.out.println(1+2); 결과 : 3 System.out.println(1.2+1.3) 결과 : 2.5 System.out.println(2*5); 결과 : 10 → 곱하기를 할 때는 *(에스터리스크, Asterisk, 키보드 자판상으로 숫자 8 위)를 사용한다. System.out.println(6/2); 결과 : 3 → 나누기를 할 때는 /(슬래쉬, slash, 키보드 자판상으로 오른쪽 shift 키 왼쪽)를 사용한다. 2. 문자와 문자열 자바는 문자(Character)와 문자열(String)을 구분한다. 문자는 한 글자를 의미하고, 문자열은 여러 개의 문자가 결합한 것을 의미한다. System.out.println('생..